질환백과
- 정의
- 반달연골 이상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반달연골에 이상이 생겨 무릎에 통증이 생기고 관절을 제대로 움직이기 힘들어지는 질환을 의미합니다. 반달연골은 대퇴골과 정강이뼈 사이의 무릎에 있는 연골로, 관절의 내측과 외측에 하나씩 존재합니다. 그 모양이 반달(C자)과 비슷하다고 하여 반달연골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. 반달연골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. 반달연골이 얇아지고 찢어지고 거칠어지는 모든 것이 반달연골 이상에 의해 발생합니다.  
- 원인
- 반달연골이 손상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. - ① 무릎에 무리가 가는 운동(점프,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, 미끄러짐, 무리한 달리기 등) 
 ② 심하게 부딪히거나 관절이 뒤틀리는 외상
 ③ 손상되기 쉬운 원판형 반월판 연골
 ④ 나이가 많아지면서 연골에 발생한 퇴행성 변화- 반달연골 손상은 퇴행성 관절염과 달리 중년 이하의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합니다. 20~30대의 경우 축구, 농구와 같은 격렬한 운동으로 반달연골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40~50대의 경우 퇴행성 변화로 인해 가벼운 일상생활 중에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
- 증상
- 반달연골 이상은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연골이 손상되어도 걷는 데 크게 지장을 받지 않으며, 며칠 안에 통증도 사라집니다.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반달연골 이상도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서 초기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. - 반달연골의 손상이 진행되면 통증, 부종이 나타나며, 관절 운동이 제한되거나 무릎에 물이 찰 수 있습니다. 반달연골이 파열되면 무릎이 부으며, 걸을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. 특히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무릎을 구부리고 필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. '뚜둑'하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. 
- 진단
- 반달연골 이상은 MRI를 통해 진단합니다. X-ray를 통해서는 진단할 수 없습니다. 
- 치료
- 반달연골에 이상이 있는 모든 경우에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. 노화 과정에 따른 반월상 연골의 수평 파열은 중년, 노년에게서 별다른 외상이 없이 발생하며, 퇴행성 관절염을 동반한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경우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합니다. 연골 파열은 대부분 약과 물리 치료만으로 치료되지 않습니다. 관절경을 통해 부분 연골 절제술, 연골 봉합술 등을 시행합니다. 비교적 젊은 사람으로 반달연골이 다 닳아 없어진 경우는 반달연골 이식술을 시행합니다. 관절경으로 시행하는 수술은 수술 부위가 작고 합병증과 후유증이 없으므로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. 
- 주의사항
-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. 갑작스럽고 무리한 방향 전환은 반달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. 평소에 무릎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시행하여 무릎 주위의 근육을 튼튼히 하면 연골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집안일이 많은 주부에게도 반달연골 이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. 틈틈이 근력 운동, 스트레칭을 시행하여 무릎 관절 주위의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.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

